대한민국 소방산업2018. 4. 27. 10:30

미분무 소방관창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반소방관창은 소방호스(수관)에 연결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데 사용하는 기구입니다. 물의 분사를 만든 다음, 화점을 겨냥하여 사용하며. 토출압력이 높고 분사유량이 높아 한사람이 동작하기에는 약간의 어려움도 따릅니다.

높은수압에 의해 2차 수손피해가 일어날수있고 움직임에 제한이 따를수도 있습니다.

이른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관창이 미분무 소방관창입니다.

소방관창과 같이 높은압력을 사용하지만 물이 노즐을 통과하면서 파쇄되어 안개처럼 물이 분사되기 때문에 움직임이자유롭고 수손피해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일반관창은 가솔린과 같은 유류화재를 진화가 어렵지만 미분무관창은 일부 유류화재도 진압이 가능합니다.

미분무 방사시 일반관창에 비해 방사거리가 짧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보안하기 위해 미분무분사와 직사분사등 패턴을 다양화하여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일반관창에 비해 가격은 약간 높은편입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패턴으로 화재의 성상에 따라 화재를 진화할수있는 장점이 있기때문에 충분히 사용해볼만한 관창이라고 생각합니다.

압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유류화재를 진화할수있는 것이 아주 매력적입니다.

 

 

물론 대형화재에서는 어렵겠지만 10단위 이하의 유류화재에서는 충분히 진화할수있는 능력을 보유하고있습니다.

아래동영상은 5단위 유류화재 한국소방기술원에서 시험한 영상입니다.

 

 

대한민국이 안전한 그날까지 소방산업이 발전하기 기원합니다.

'대한민국 소방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조 사찰 문화재 미분무소화장비 배치  (0) 2018.04.26
제15회 국제소방안전박람회  (0) 2018.04.25
미분무 소방차  (0) 2018.04.24
포소화설비  (0) 2018.04.23
Water Mist Fire Fighting System  (0) 2018.04.23
Posted by 노가다팀장
대한민국 소방산업2018. 4. 26. 10:51

목조 사찰 문화재 미분무소화장비 배치 초기화재진압용 기본장비

설치배경
목조 사찰문화재 화재 시 5분내 최성기 도달, 대형화재로 확산 , 목조 사찰문화재 화재 시 초기에 즉각 대응하여 화재확산 방지 , 옥외소화전의 초기대응력 부족 및 미설치 공백 보완 , 유류에 의한 방화에 적응성이 뛰어난 장비 배치

 

목조문화재를 대상으로 초기화재진압용 기본장비를 설치할경우 화재초기 대응이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옥외소화전 등, 소방력이 부족한 주요 목조 사찰 문화재 화재에 취약하며 옥외소화전의 경우 2인이상이 있어야 운영가능하기 때문에 초기대응이 분리하다.
옥외소화전 설치 외, 별도의 초기화재진압용으로 미분무소방장비를 배치할경우 1인이 운영가능해 초기진화가 가능하다

 

 

덕수궁에서 운영중인 이동식 미분무소방장비

특징 :

① A,B,C급 모든화재를 진화 (화재적용성)  ② 비전문가 1명이 즉시 가동 (조작편의성) ③ 수손피해, 문화재훼손 최소화 (환경무해) ④ 뛰어난 소화능력 보장 (물100리터 사용, A급10단위 / B급10단위 소화)


 

장비의 기본제원

    

    

    

탱크용량

100리터 (분당 20리터 사용)

순수물 사용

소화방식

고압 미분무소화방식

압력 100바

호스릴

고압 3/8" x 50m

최대500m연장

사용시간

최소 5분 이상

보충

2시간 이상

분무거리

미분무 8m이상, 직사 12m이상

 

동력장치

21마력 4행정 가솔린엔진

 

펌프성능

최대압력200바, 유량분당30리터

상용 100바

 

 

 

'대한민국 소방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압 미분무(WATERMIST)소방관창 노즐  (0) 2018.04.27
제15회 국제소방안전박람회  (0) 2018.04.25
미분무 소방차  (0) 2018.04.24
포소화설비  (0) 2018.04.23
Water Mist Fire Fighting System  (0) 2018.04.23
Posted by 노가다팀장
대한민국 소방산업2018. 4. 25. 17:56

소방청과 대구광역시가 주최하고 엑스코, 한국소방산업기술원,KOTRA가 주관하는 제15회 국제소방안전박람회가 오는 2018. 4. 25(수) ~ 27(금) 3일간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개최되었습니다..


발전하는 소방산업! 함께하는 국민안전!’을 주제로 올해로 15회 째를맞이하는 국제소방안전박람회는 2003년 대구지하철화재를 계기로 소방산업발전을 통해 안전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2004년 시작된 국내유일 소방산업 전문박람회다. 2015년 국제전시협회(UFI)인증을 획득함으로써 국제적인 인지도를 확보했고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소방안전 전문박람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첨단 IT기술접목  첨단기술융합 재난대응시스템 드론까지 전시되었습니다..

최근 잇따른 국내 지진 상황을 반영해 안전체험관을 개편한 가상현실(VR) 활용 지진체험, 선박‧항공‧지하철 등 다양한 재난에 대한 현장체험과 첨단기술이 융합된 드론파로스는 1,000도 이상 화염 속에서도 운용할 수 있고, 위치인식과 열 감지 센서가 부착되어 대형재난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예정이라고 해요

 

 

미분무 소방관창을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제조하고 있는 파이어시스라는 회사입니다.

 

제15회 국제소방안전박람회는 최첨단제품, 4차혁명관, 국제관, 정책홍보관, 기업홍보관에서 전시부스가 운영되고, 4차산업혁명시대의 소방기술동향 등 29개 국내‧국제학술행사, 수출상담회, 취업설명회 및 지진‧해양, 교통안전 등 재난유형별 안전체험관을 선보입니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최첨단 소방장비와 관련 신기술을 한곳에서 볼 수 있으며, 특히 올해 박람회에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고 새롭게 거듭난 소방청의 미래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관을 운영합니다.

특히 4차산업혁명관에서는 소방관용 스마트 헬멧을 포함한 첨단기술이 융합된 장비가 전시될 예정인데, 한국형 웨어러블 로봇은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로봇이 상용화 수준에 이른 나라는 미국, 유럽, 일본과 우리나라 정도이며, 무거운 물건을 옮기는 산업용 웨어러블 로봇은 일본에 이어 세계 2위 수준이며, 향후 초고층빌딩 등 취약대상 화재 시 활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고 있습니다

[출처] 제15회 국제소방안전박람회에서 안전분야의 4차산업혁명이 시작됩니다!|작성자 소방청

 

 

미분무소방관창

 

'대한민국 소방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압 미분무(WATERMIST)소방관창 노즐  (0) 2018.04.27
목조 사찰 문화재 미분무소화장비 배치  (0) 2018.04.26
미분무 소방차  (0) 2018.04.24
포소화설비  (0) 2018.04.23
Water Mist Fire Fighting System  (0) 2018.04.23
Posted by 노가다팀장
대한민국 소방산업2018. 4. 24. 11:26

소형소방차는 대형소방차의 통행이 어려운 좁은 골목길과 주택가 등에서 효과적인 화재 진압을 위해 개발된 소방차이다. 신속한 출동과 화재 진압을 위해 각 시도 소방본부에 배치되어 현재 운영중에 있다.

특히 골목길과 농로 등 좁은 지역도 진입할 수 있고, 비닐하우스 화재 등 원거리 화재 진압에 적합해 화재 현장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소방본부는 기대하고 있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다목적 소방차량의 배치로 신속한 출동과 화재진압이 가능할 것"이라며 "재난현장 대응역량 강화를 통해 도민의 안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여러곳에서 문제점이 발생하고있다. 먼저 1톤에 담을수있는 물의 양이 300~600리터 남짓 되기 때문에 좁은 골목에빨리 진입한다하더라도 300~600리터의 물로 화재 진압을 하는것은 매우 힘든일이다.

다행히도 주위에 소화전이라도 있다면 연결하여 사용하면 되겠지만 그것마저도 쉽지않다.

이런부분들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소형소방차가 미분무소방차이다.

 

미분무소방차는 B3급의 소방펌프를 탑재하고 있다 주위에 소화전이 있을경우 연결하여 높은 압력으로 화재진압을 할수있게 하였다.

 

 

탑재되어 있는 600리터의 물을 사용할수도 있지만 B3급의 소방펌프를 사용하기에는 물의 양이 작기때문에 소화전이 있는곳에서 사용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B3급 소방펌프는 0.6 m3/min x 5.5kg/cm2 0.3 m3/min x 8kg/cm2의 유량을 확보하고 있기때문에 중형급이상의 화재에도 사용할수있다.

 

미분무 소방차에는 미분무 소방장비가 탑재되어 있다.

 

미분무소화의 3대원리

1:미분무수가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냉각효과

2:증발하면서 생성된 수증기 팽창으로 가연성물질 주위의 산소차단효과

3:화염주위의 미분무수 입자들이 가연성 물질로 방출되는 복사열 차단효과

 

미분무의 장점으로 작은양의 물로 효과적인 초기 화재 진압을 할수있다는 점이다. 미분무소방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고압펌프는 최대압력 150bar에 분당42리터의 물을 방사할수있다.

분무방식으로 JET분사와  MIST분사로 나누어져 있으며 미분무방사시 600리터의 물로 10분에서 20분가량 방사할수있어 초기화재 진압에 매우 적합하다.

미분무분사는 화재발생시 혼자서도 작동이 가능한 편리하며 10초이내에 모든작동을 할수있다. 또한 4륜구동 차량으로 산불진화에도 적합하다.

 

 

남해 욕지도,사량도등 도서산간지역에 배치되어 지역의 의용소방대에서도 운영중에 있다. 특히 도서 산간지역은 소방서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피해가 다른지역에 비해 크다.

때문에 자체 의용대에서 미분무소방차를 운영해 화재 진압을 하고있다.

 

 

미분무소방차 제조업체 : 네오텍코리아

홈페이지 주소 : http://www.ntkorea.net/

 

 

Posted by 노가다팀장
대한민국 소방산업2018. 4. 23. 17:40

●  설비개요

포소화설비는 물에 의한 소화방법으로는 효과가 적거나 화재가 확대될 위험성이 있는 가연성액체 등의 화재에 사용하는 설비이다.
물과 포소화약제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수용액이 공기에 의하여 발포시켜 형성된 미세한 기포의 집합체가 연소물의 표면을 차단함으로써 질식소화하며 또한, 포에 함유된 수분에 의한 냉각소화 효과도 있다.
대규모 화재의 소화에도 적합하고, 옥외 소화에도 효력이 있다.
포소화설비는 일반적으로 수원, 가압송수장치, 포방출구, 포원액저장탱크, 혼합장치, 배관 및 화재감지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  설비방식

1. 고정포방출설비 방식
고정포방출설비 방식은 위험물 저장탱크 등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탱크의 구조 및 크기에 따라 일정한 수의 포 방출구를 탱크 측면 또는 내부에 설치한다.

2. 포헤드설비 방식
포헤드설비 방식은 화재시 접근이 곤란한 위험물제조소, 취급소, 옥내저장소, 차고 등에 설치한다
고정식 배관에 헤드를 설치하여 포를 방출하는 설비로서, 포헤드의 종류에 따라 다음의 2종류로 구분한다.
홈워터스프링클러 설비
홈헤드 설비

3. 이동식
화재시 쉽게 접근하여 소화작업을 할 수 있는 장소 또는, 방호대상이 '고정포방출설비 방식'이나 '포헤드설비 방식'으로는 충분한 소화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다음의 2종류로 구분한다.
포소화전설비
호스릴포설비

4. 포모니터 방식
석유화학플랜트 등을 방호하기 위한 설비로서 소화활동이 가능한 장소로부터 원격조작 또는 수동조작을 할 수 있는 설비이다.

포소화약제의 종류(기계포 : 공기포)

약제의 종류

성 분 및 소화 특성

사용농도

방호대상

단 백 포
(Protein Foam)

  • .식물성 단백질의 가수분해 생성물을 기제로 하고, 포막 안정제로서 제1철염을 첨가한 것
  • 흑갈색으로서 독한 냄새가 있음
  • 포의 유동성이 작아서 소화속도가 늦은 반면 안정성이 커서 재연방지 효과가 우수함


3%

6%

석유류 탱크
석유화학플랜트

불화단백포
(Flouroprotein Foam)

  • 단백포 소화약제에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소량 첨가한 것
  • 단백포와 수성막포의 단점인 유동성과 열안정성을 보완한 것
  • 표면하 주입방식에도 효과적임


3%

6%

석유류 탱크
석유화학플랜트

합성계면 활성제포
(Synthetic Foam)

  • 계면활성제를 기제로 하여 안정제 등을 첨가한 것
  • 저팽창에서 고팽창까지 팽창 범위가 넓어 고체 및 기체연료 등 사용 범위가 큼
  • 유동성이 좋은 반면 내유성이 약하고 포가 빨리 소멸되는 단점이 있음


3%

6%

고압가스
액화가스
화학플트
위험물 저장소
고체연료

수성막포
(
불소계 계면활성제포 :
Aqueous Film Forming
Foam)
* Light Water

  • 불소계 습윤제를 기제로 하여 안정제 등을 첨가한 것
  •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보존성, 내약품성이 우수함
  • 대형화재 또는 고온화재시 표면막 생성이 곤란한 단점이 있음

 

3%

6%

유류 탱크
화학 플랜트

알코올형포
(Alcohol Resistant Foam)

  • 천연 단백질 분해물계와 합성 계면활성제계로 구분
  • 물과 혼합하면 알코올과 같은 수용성 위험물에서 불용성이 되므로 알코올류 위험물의 소화에 사용됨

 

3%

수용성 액체위물
(알코올류,톤류)

 

* 중발포 및 고발포  

중발포 및 고발포는 특수 합성세제와 안정제를 혼합한 것이다. 물과의 혼합비율은 1.5%에서 3%     이고, 이 용액은 특수 에어 흡인식 발포장치로 발포한다.
중발포는 지금까지 가연성액체 화재의 소화에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고 있으나 그다지 사용 하지     않고 있다. 팽창율은 20배에서 200배로서, 저발포보다 가볍고 수분이 적어 엷은 포막을 형성한다.     저발포 용액은 모두 에어흡인식 등의 발포장치를 이용하여 중발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중     발포는 바람에 날리기 쉽고 증기밀폐, 재연방지 및 유류에 대한 내성이 저발포보다 약한점에 주의     하여야 한다.
팽창율이 200배에서 1,000배인 고발포는 주로 지하실, 선창, 탄광 등 소방대원이 진입하기 어려운    장소에서의 일반가연물(A)화재에 사용하고, 가연성액체 화재의 소화에는 적당하지 않다. 고발포    는 수분이 아주 적기 때문에 증기밀폐, 재연방지, 유류에 대한 내성 및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    서 화원에도달하여도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소방법에서는 팽창비 80 이상 1,000 미만인 것을 고발포라 하고 중발포는 별도로 규정하지 않고     있으며, 저발포는 팽창비가 20 이하인 것을 말한다.      

    

약제혼합장치  

프레져 푸로포셔너방식(Pressure Proportioner Type)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츄리관의 벤츄리작용과 펌프 가압수의 포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대한 압력에 의하여 포소화약제를 흡입, 혼합하는 방식 - 압송식(Pressure Proportioner Type 1) -    압입식(Pressure Proportioner Type 2)  

라인 푸로포셔너방식 (Line Proportioner Type)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츄리관의 벤츄리작용에 의하여 포소화제를 흡입, 혼합하는 방식  

펌프 푸로포셔너방식(Pump Proportioner Type)
   펌프의 토출관과 흡입관 사이의 배관 도중에 설치한 흡입기에 펌프에서 토출된 물의 일부를 보내    , 농도조정밸브에서 조정된 약제의 필요량을 약제탱크에서 펌프 흡입측으로 보내어 이를 혼합하    는 방식
   - Pump Proportioner Type
   - Suction Proportioner Type

프례져 사이드 푸로포셔너방식 (Pressure Side Proportioner Type)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소화약제 압입용 펌프로 포원액을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  

     

고정포방출방식  

보조포소화전 설치 기준  

설치목적 : 방유제 안으로 누출된 위험물 화재의 소화를 위하여 방유제 밖에 설치
   
(방유제가 없는 경우 방호대상물로부터 15m 이상 이격 설치)
방유제의 각 부분으로부터 40m 이내의 거리마다 설치 (소화설비 할인규정 : 탱크직경 24m 미만     1, 24m 이상 35m 미만 2, 35m 이상 3) □ 설치된 포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최대 3) 방사압력 3.5f/, 방사량 400ℓ/min 이상으로 20분 이상 방사할 수 있을 것  

선택밸브  

   *1. 1 선택밸브 : 펌프실 또는 송액 주배관으로부터의 분기점에 설치
   *2. 2 선택밸브 : 방호대상물마다 설치 (화재시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
     - 선택밸브는 방유제 밖에 설치
     - 1 선택밸브와 제 2 선택밸브에는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을 명기한 표지판 설치

옥외탱크저장소의 고정포방출구 수

탱크의 직경
(
단위 : m)

포방출구의수

탱크의 직경
(
단위 : m)

포방출구의수

I,II

특 형

I,II

특 형

  13 미만
  13
이상 19 미만
  19
이상 24 미만
  24
이상 35 미만
  35
이상 42 미만
  42
이상 46 미만
  46
이상 53 미만
  53
이상 60 미만

1
1
1
2
3
4
6
8

2
3
4
5
6
7
8
10

  60 이상 67 미만
  67
이상 73 미만
  73
이상 79 미만
  79
이상 85 미만
  85
이상 90 미만
  90
이상 95 미만
  95
이상 99 미만
  99
이상 103 미만

10
12
14
16
18
20
22
24

10
12
12
14
14
16
16
18

 

고정포방출구의 종류

I 형 방 출 구

II 형 방 출 구

특 형 방 출 구

- 방출된 포가 액면 위에서 전개될 수 있도록 탱크 내부에 포의 통로가 있는 설비로서 Cone Roof Tank에 설치

- Cross Section of a Moeller Tube Chamber, Foam Chute, Foam Trough Type 등이 있다.

* 알코올형포는 연소액면에 포를 주입할 때 포의 소멸이 빨라 소화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I형 방출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방출된 포가 탱크 측판 내부로 흘러 내려서 액면에 전개되도록 Deflector가 있는 설비로서 Cone Roof Tank 에 설치

- Floating Roof Tank의 측면과 굽도리판 (Foam Dam)에 의하여 형성된 환상부에 포를 방출하여 소화작용을 하도록 설치된 설비

고정포방출설비 설치 기준

위험물의 칩입을 방지하기 위한 봉판 (Seal) 설치
봉판의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한 점검구 (Inspection Cap) 설치
탱크 밖으로 방출시험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

소화약제량 및 수원의 양

        

           

수원의 양

고정포방출구

Q = A × Q 1 × T × S …… (ℓ)

A : 탱크의 액표면적 ()
Q 1 :
고정포방출구의 방출량 (ℓ/.min),
        
아래 표 참조
T :
방사시간 (min), 아래 표 참조
S :
포소화약제의 사용농도

 

W = A×Q 1 ×T …… (ℓ)

보조소화전

Q = N × S × 8,000 …… (ℓ)

N : 호오스 접결구 수 (3개 이상인 경우 3)
S :
포소화약제의 사용농도


W = N×8,000 …… (ℓ)

배관보정

가장 먼 탱크까지의 송액관 (내경 75mm 이하 제외)에 충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양
Q = Q p × S …… (ℓ)
Q p :
송액관 충전량
S   :
포소화약제의 사용농도

 

W= Q p…… (ℓ)

(①+②+③)

고정포방출구의 방출량 및 방사시간

방출구별 방출량 및 방사시간

위험물의 종류

I

II

특 형

방출량
(ℓ/.min)

방사시간
(min)

방출량
(ℓ/.min

방사시간
(min)

방출량
(ℓ/.min

방사시간
(min)

4류 위험물(수용성의 것을 제외)
인화점 21℃ 이상의 것

4

30

4

55

12

30

4류 위험물(수용성의 것을 제외)
인화점 21℃ 이상 70℃ 미만의 것

4

20

4

30

12

20

4류 위험물(수용성의 것을 제외)
인화점 70℃ 이상의 것

4

15

4

25

12

15

4류 위험물 중 수용성의 것

8

20

8

30

-

-

  *4류위험물 중 수용성의 것으로서 위표에서 정하는 것에 대한 방출량 및 방사시간은 위 표에서    정한 방출량 및 방사시간에 소방기술기준에관한규칙 [별표7]의 비고에서 위험물별로 정한 계수를    곱하여 얻은 값이상.  

    

표면하 포주입 방식(Subsurface Foam Injection System)  

개요

   - 탱크화재시 폭발에 의하여 고정포방출구가 파괴되는 결점을 보완한 형태
     (탱크저부에서 포를 주입)
   - 포의 유동은 유면에서 30m 이내일 때 효과적이므로 탱크 직경이 6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하 주입방식이 적합
   - Cone Roof형 대기압의 탱크에 적합 - 점도가 낮은 위험물에 적합  

발포기

   - 표면하 주입방식에서는 포방출구 토출측에 액체위험물의 압력 등이 배압 (Back Pressure) 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발포기는 고압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현재 High Back Pressure Foam       Maker가 사용되고 있다.
      * 높이 18m인 탱크의 경우, 발포기에 약 10kgf/c㎡ 이상의 수용액 공급압력이 필요하다.  

포방출량과 방출시간

   - 포방출량 및 방출시간은 II형 방출구 준용  

포소화약제

   - 불화단백포와 수성막포가 적합

반표면하 포주입방식(Semi-Subsurface Foam Injection System)

   표면하 포주입방식의 개량형으로서, Hose Container 등을 설치하여 포가 액면에 효과적으로 떠오    르도록 한 것.      

       

포헤드설비 방식  

포헤드의 배치  

정방형인 경우 : S = 2r cos 45˚( 3m)
장방형인 경우 : Pt = 2r S = 헤드 상호간의 거리(m)
                          Pt = 대각선의 길이(m) r = 유효반경 (m)
    *포헤드와 벽 및 방호구역 경계선과의 거리는 위의 거리의 1/2 이하로 할 것.

보가 있는 경우의 헤드 설치

포헤드와 보의 수평거리

포헤드와 보하단의 수직거리

   0.75m 미만
   0.75m
이상 1m 미만
   1m
이상 1.5m 미만
   1.5m
이상

   0
   0.1 m
미만
   0.1m
이상 0.15m 미만
   0.15 m
이상 0.3m 미만

소화약제량 및 수원의 양

소 방 대 상 물

적 용 설 비

수원의 양

  
약제량

특수가연물을 저장ㆍ취급하는 공장 및 창고

홈워터스프링클러
홈헤드설비
고정포방출설비

홈헤드설비 또는
   
홈워터  스프링클러설비
   [N×Qs×10
]

   N : 포헤드가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포헤드수 (바닥면적이         200㎡를 초과한 층에 있어서         는 바닥면적 200㎡ 이내에 설         치된 포헤드수)

   Qs :
헤드의 표준방사량(ℓ/)

 

고정포방출설비
  [
포방출구가 가장 많은 방호구역     의 고정포방출구수×표준방사량     ×10]

 

수원
의량

×

약제
농도

차고ㆍ주차장

홈워터스프링클러설비
홈헤드설비
고정포방출설비

위험물제조소 등 (위험물 옥외탱크 저장소 제외)

홈워터스프링클러설비
홈헤드설비
고정포방출설비
포소화설비

비행기 격납고

홈워터스프링클러설비
홈헤드설비
고정포방출설비

비행기 격납고 중 바닥면적 1,000㎡이상 이고 비행기 격납위치가 한정된 장소 이외의 부분

호스릴포설비

호스릴포설비
  [
방수구수
   (5
이상인 경우5)×6,000ℓ]

차고ㆍ주차장 중 소화활동에 지장이 없는 장소 (아래 참조)

포소화전설비

호스릴포설비

방수구수(3 이상인 경우 3) ×    8,000ℓ

위험물
옥외탱크저장소

고정포방출설비

고정포방출설비의 소화약제량 및    수원의 양 표 내용 중고정포방출    구 부분 참조

포소화전설비

고정포방출설비의 소화약제량 및    수원의 양 표 내용중보조포소화    전 부분 참조


하나의 소방대상물에 여러 종류의 설비가 함께 설치된 때에는 각 설비별로 산출된 저수량 중
   
최대의 것으로 함.

차고·주차장 중 소화활동에 지장이 없는 장소
   - 완전개방된 옥상주차장 또는 고가 밑의 주차장으로서 주된 벽이 없고 기둥 뿐이거나 주위가
     
위해 방지용 철주 등으로 둘러싸인 부분 (옥상주차장, 고가 밑의 주차장 등)

   - 옥외로 통하는 개구부가 상시 개방된 구조의 부분으로 그 개방된 부분의 합계 면적이 바닥면적의      15% 이상인 부분
   - 지상 1층으로서 방회구획되거나 지붕이 없는 부분
   - 지상에서 개방 가능한 개구부의 면적이 바닥면적의 20% 이상인 부분
     (소정의 배연장치가 설치된 경우, 15% 이상)    

       

고팽창 포소화설비    

설비개요

    합성계면활성제 포원액을 포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팽창비 80∼1,000의 고팽창포로 변화시킨     다음 이를방사하여 소화하는 설비이다. 이 설비는 넓은 장소의 급속소화에 많이 이용되며, 질식     및 냉각소화 효과가 있다.  

포제너레이터 : 공기유입 방식에 따라 다음의 2종류가 있다.  

흡출식 (Aspirating Type Foam Generator) 포수용액이 발포기를 통해 분사되면서 포스크린을     때려서 약 250배의 비율로 팽창
송출식 (Blower Type Foam Generator) 포수용액이 노즐에서 분사될 때 송풍기를 이용하여    
   
포스크린을 통과하면서 500∼1,000배의 비율로 팽창  

고발포용 고정포방출구 설치 기준  

전역방출방식 개구부에 자동폐쇄장치 설치 고정포방출구는 바닥면적 500㎡ 마다 1개 이상 설치    고정포방출구는 방호대상물의 최고 부분 위쪽에 설치 (밀어올리기형 제외)
전역방출방식 관포체적 1㎡ 당 방출량

소방대상물

포 의 팽 창 비

1㎥ 대한

분당포수용액방출량

비행기 격납고

팽창비 80이상 250미만의 것

2.00ℓ

팽창비 250이상 500미만의 것

0.50ℓ

팽창비 500이상 1,000미만의 것

0.29ℓ

차고 또는 주차장

팽창비 80이상 250미만의 것

1.11ℓ

팽창비 250이상 500미만의 것

0.28ℓ

팽창비 500이상 1,000미만의 것

0.16ℓ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소방대상물

팽창비 80이상 250미만의 것

1.25ℓ

팽창비 250이상 500미만의 것

0.31ℓ

팽창비 500이상 1,000미만의 것

0.18ℓ

* 관포체적
   방호구역의 바닥면으로부터 그 구역 내의 방호대상물 보다 0.5m 높은 위치까지의 체적  

국소방출방식
    연소우려가 있는 방호대상물은 하나의 방호대상물로 하여 설치
   
* 방호대상면적
     
해당 방호대상물의 각 부분에서 각각 해당 방호대상물의 높이의 3 (1m 미만인 경우 1m)
   
  거리를 수평으로 연장한 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

국소방출방식 방호대상면적 1㎡당 방출량

방호대상물

방호면적 1㎡에 대한 1분당 방출량

특수가연물

3 ℓ

기타의 것

2 ℓ

 

Posted by 노가다팀장
대한민국 소방산업2018. 4. 23. 14:12

1. 미분무수 소화설비의 개요
1-1. 미분무수(Water Mist)의 정의
 미국 NFPA(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에 구성된 NFPA750 Water Mist 소화설비 위원회에서는 Water Mist를 1,000μm 미만의 Dv0.99로 된 물안개를 만드는 노즐 또는 설비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부피의 99%가 직경 1.0mm 미만의 액적이어야 한다는 의미이며,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Dv0.99가 5.0mm이다.

 

 

Extinguishing system

Average droplet diameter

[mm]

Reaction surface

[m²/l water]

Sprinkler

> 1

< 2

Spray system

0.1

20

Water Mist system

0.01

200

 

1-2. 미분무수 소화설비(Water Mist System)의 특징

● 화재위험으로부터 공간내 인명 및 재산 보호
● Flashover로의 전이 및 이웃 공간으로의 화재전파 방지를 위한 화재실 내 화재온도 제어
● A급 및 B급 화재 진압
● 할론 및 CO2 대체소화시스템
● 동일 수준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기존 스프링클러 시스템 대체
● 소화약제가 100% 순수물이므로 소화약제에 의한 2차 피해가 거의 없음
● 화재 발생 감지 후 즉시 분무 가능하므로 초기 화재 진압에 탁월함

 

1-3. 미분무수 소화의 원리

● 미분무수가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잠열로 인한 냉각효과
● 미분무수의 증발에 의한 수증기의 생성과 체적의 팽창으로 인한 가연성물질 주위의 산소 희박효과
● 화염 주위의 미분무수들에 의하여 화염으로부터 주위 가연성 물질로 방출되는 복사열 차단효과


위의 세 가지 소화효과에서 알 수 있듯이 미분무수 소화장비의 소화성능은 미분무수의 증발속도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분무수는 미분무수의 표면적을 통해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게 되는데, 동일한 물을 사용하여 동일한 열전달계수를 가지는 경우에는 전열면적으로 요구되는 표면적이 넓을수록 증발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더 작은 지름의 미분무수를 사용할수록 미분무수 소화장치의 소화성능이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NFPA750 CODE에 의해 분류된 미세분무수 소화설비의 정의는 분무되는 물의 입자크기가 1000μm이하인 경우 미세분무수소화설비라고 할 수 있고 소화시 사용하는 압력에 따라 저압, 중압, 고압으로 분류하며 소화력측면에서는 고압이 양호한 것으로 학회에 보고되고 있다.

4. 미분무수 소화설비의 적용 사례
Water Mist 소화장치의 적용분야는 크게 육상과 해상으로 구분한다.

WATERMIST의 화재진화 시스템은 해양과 육지의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어진다.
할로겐제품들은 점점 줄어들고 있고, Co2 진화시스템이 주요 소화시스템의 흐름이긴 하지만  Co2 역시 내재적 삶에 대한 그 자체의 위험성으로 인하여 워터미스트가 새로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IMO기준에의해 워터미스트는 , 500m3 이상의 여객구역이나 2002년 7월 1일 이후 건조된 2000톤 이상의 화물선등에 적용된다..
역시 차후에 거주구역에 있어 일반 물분사 시스템을 대체하여 워터미스트 시스템이 사용될것으로 예상된다.
WATERMIST 화재 진화시스템은 IMO 668, 913 기준 시험을 통과하였으며 이것으로 인해 선박등에 적용이 가능해졌다. 그러므로 이 제품의 선박분야의 적용이 최근 이루어졌다.
육상분야에서는 워터미스트 시스템이 더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WATERMIST의 탁월한 진화시스템은 석유나 윤활유화재, 전기화재등으로부터 산업기자재와 발전설비, 변전시설, 화학분야 공장등에 적용된다.
특히 이 시스템은 물만을 이용해 불을 진화하므로 유지비용이 가스제 를 이용한 진화보다 유지비용이 저렴하고 열과 가스로부터 보호기능이 탁월하다. 이러한 이점으로 인하여 기차나 지하철 차량등에 적용된다.t.
이것이 예상되지 않는 재앙으로 부터 승객을 보호하는 가장 안전한 시스템이다.

일반적인 낮은 워터 미스트나 물분사 시스템은 여러 피해를 유발하는데 이 피해가 반복됨에 따라 큰화재로 인한 피해보다 더 큰 피해를 야기한다. 그러므로 워터미스트 시스템은 박물관 미술관 컴퓨터실, 병원등,, 여러 일상생활이나 전시에도 광범위하게 사용가능하다.
WATERMIST의 시스템은 적은 물의 사용으로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화하여 물품들의 거의 피해가 없으며 청도도 간편하다. 그러므로 시간과 경비가 많이 절감된다.

 

 

Posted by 노가다팀장